다수의 기프트카드 온라인 구매 UX 개선하기

다수의 기프트카드 온라인 구매 UX 개선하기

케이스  |  힌트  |  솔루션·피드백

문제

스타벅스 홈페이지에서 기프트카드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tarbucks.co.kr/msr/sceGift/gift_step2.do
현재는 아래 그림처럼 대상자를 입력하게 되어있습니다. 여러 사람(10명~20명)에게 기프트카드를 보내는 사용자들은 현재 화면에서 전화번호와 이름을 일일이 입력하는 것을 상당히 어려워하고 있는데
이를 개선해주세요. 

케이스 풀이시 고려사항

  •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관점에서 현재 UX에서의 번거로움을 찾습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만들고 디자인합니다. 여러 문제가 있고, 그에 따른 여러 해결안이 있겠지만 그 중 사용자의 가장 큰 어려움을 해결하는 안이 더 좋습니다.

문제

스타벅스 홈페이지에서 기프트카드를 구매할 수 있다.
https://www.starbucks.co.kr/msr/sceGift/gift_step2.do


현재는 아래 그림처럼 대상자를 입력하게 되어있습니다. 여러 사람(10명~20명)에게 기프트카드를 보내는 사용자들은 현재 화면에서 전화번호와 이름을 일일이 입력하는 것을 상당히 어려워하고 있는데
이를 개선해주세요.
 

케이스 풀이시 고려사항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관점에서 현재 UX에서의 번거로움을 찾습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만들고 디자인합니다. 여러 문제가 있고, 그에 따른 여러 해결안이 있겠지만 그 중 사용자의 가장 큰 어려움을 해결하는 안이 더 좋습니다.


케이스 힌트

이 케이스가 어떤 케이스인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 수 있어요.

케이스를 풀기 위한 접근법


  • 이 케이스는 현업에서는 거의 매주 발생하는 사용자 불만(VOC, Voice of Customers) 사항을 해결하는 사례입니다.
  • 이 케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말한 불만사항(이름과 전화번호를 넣기가 번거로움)을 직접적으로 해결하는 개선안을 디자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관점으로 보면 별로 할 것이 없습니다. 예로 010이 이미 선택되어 있다거나, 키보드 TAB을 누르면 다음 필드로 이동하게 한다거나 입니다. 이런 개선은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고객 불만 사항을 없앨 수 있을 만큼의 효과가 없습니다.
  • 즉, 좋은 개선안을 디자인 하려면 화면 바깥으로 생각의 폭을 넓혀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자가 이 화면에 도착하기 전/후로는 어떤 경험을 하고 있을지 상상해보세요. 
  • 기프트카드를 여러 명에게 보내는 사용자는 어떤 사람일지,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ex. 행사 참여자들 20명에게 커피 쿠폰을 나눠줘야 하는 사람, 교수님에게 카톡으로로 카드 보낼 사람 목록 20개를 받은 조교) 면밀히 살펴보세요. 10~20명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어떤 형태로 정리했을지 생각해 보세요.
  • 차별화/혁신 UX를 찾을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사용자의 정황 Context를 살피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어떤 행동들을 했는지, 어떤 상황과 환경에서 있는지, 누구와 협업을 하고 있는지.
  • 실마리를 찾았으면 이런 상황을 해결한 다른 사례를 찾아보세요. 아래의 그림은 메일 수신자 입력 사례입니다.

이 케이스를 풀기 위한 접근법

이 케이스는 현업에서는 거의 매주 발생하는 사용자 불만(VOC, Voice of Customers) 사항을 해결하는 사례입니다.

 
이 케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말한 불만사항(이름과 전화번호를 넣기가 번거로움)을 직접적으로 해결하는 개선안을 디자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관점으로 보면 별로 할 것이 없습니다. 예로 010이 이미 선택되어 있다거나, 키보드 TAB을 누르면 다음 필드로 이동하게 한다거나 입니다. 이런 개선은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고객 불만 사항을 없앨 수 있을 만큼의 효과가 없습니다.

 
즉, 좋은 개선안을 디자인 하려면 화면 바깥으로 생각의 폭을 넓혀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자가 이 화면에 도착하기 전/후로는 어떤 경험을 하고 있을지 상상해보세요.

기프트카드를 여러 명에게 보내는 사용자는 어떤 사람일지,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ex. 행사 참여자들 20명에게 커피 쿠폰을 나눠줘야 하는 사람, 교수님에게 카톡으로로 카드 보낼 사람 목록 20개를 받은 조교) 면밀히 살펴보세요. 10~20명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어떤 형태로 정리했을지 생각해 보세요.

 
차별화/혁신 UX를 찾을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사용자의 정황 Context를 살피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어떤 행동들을 했는지, 어떤 상황과 환경에서 있는지, 누구와 협업을 하고 있는지.

 
실마리를 찾았으면 이런 상황을 해결한 다른 사례를 찾아보세요. 아래 그림은 메일 수신자 입력 사례입니다. 


솔루션·피드백

다른 회원은 이 케이스를 어떻게 풀었는지,

어떤 피드백을 받았는지 볼 수 있어요.

강XX 회원님이 제출하신 솔루션 예시입니다.

케이스를 출제한 전문가의 피드백 입니다.

👍 잘한 점

  • 사용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연락처(전화번호와 이름)을 복사붙여넣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좋습니다. 키보드 입력을 줄여주는 것이 디자인 목적이니까요 (지금은 전화번호 하나를 입력을 위해 필드를 두번 선택해야 함).
  • 텍스트 필드에 전화번호와 이름을 넣으면 소프트웨어가 알아서 이를 인식하게 하겠다는 것은 정말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우리는 이미 이런 기능을 지메일이나 네이버 메일 수신자 입력할 때 보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또는 AI를 활용해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관점은 아주 중요합니다. 

📌 부족한 점 

  • 이벤트 주체이며 참여자에게 상품을 보내는 상황만 고려한 것은 여러 사용자 중 일부만 고려한 것입니다. 여러 사용자들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UX 디자이너의 업무이니 이런 가정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즉 사용자들은 수신인의 전화번호를 엑셀로 가지고 있거나 카카오톡 친구 리스트에서 선택하거나, 그냥 텍스트로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경우를 다 커버해야한다는 의견은 아닙니다.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을 먼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복사붙여넣기 아이디어를 좀 더 확장했으면 좋았겠습니다. 지메일이나 네이버메일의 수신자 입력 필드처럼 통채로 복사붙여넣기를 하면 소프트웨어가 알아서 인식해주는 방식도 있으니까요.
  • UI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서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은 화면이나 (+) 버튼을 누른 후의 UI에 대해 상상을 해야 합니다. 충분한 설명이 될 수 있어야 오해가 적어지며 디자인 강점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총평 


이 케이스는 사용자 정황을 보면서 더 나은 디자인안을 찾아야 하는 사례입니다. 회원님께서는 약간 좁기는 하지만 특정 사용자를 고려하면서 좋은 인사이트를 찾으셨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적용된 UX도 만드셨고요. 다만 동일한 디자인 결과물이더라도 텍스트 형태로 수신자 전화번호/이름을 가진 사용자들이 많을 것이므로 이들을 지원하는 디자인안을 이렇게 만들었다라고 정리했으면 훨씬 더 본인의 디자인안의 가치를 잘 설명하실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인사이트>아이디어>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역량을 일곱시의 실무 케이스를 통해 키워나가세요.  

전문가의 평가: B
S: 감탄할 만한 수준입니다.
A: 실제 상품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요.
B: 부족함이 조금 있습니다.
C: 노력이 필요해요. 

케이스를 출제한 전문가의 피드백 입니다.

👍 잘한 점 
메뉴 사용성에 대해 파악하고 메뉴 항목이 많은 서비스의 벤치마킹을 수행해서 현재 UX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안을 찾았습니다.

메뉴 항목을 재구성하는 시도가 아니라 (실제로 항목이 많을 수록 재구성이 어려우며 그 결과도 별로 티가 나지 않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메뉴와 특정 기간에 많이 사용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다른 방식을 고안하였습니다 (실제로 홈택스 사용자들은 많은 기능 중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반복 사용하며, 특정 기간에 많이 사용되는 메뉴가 있습니다.
📌 부족한 점 
이벤트 주체이며 참여자에게 상품을 보내는 상황만 고려한 것은 여러 사용자 중 일부만 고려한 것입니다. 여러 사용자들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UX 디자이너의 업무이니 이런 가정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즉 사용자들은 수신인의 전화번호를 엑셀로 가지고 있거나 카카오톡 친구 리스트에서 선택하거나, 그냥 텍스트로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경우를 다 커버해야한다는 의견은 아닙니다.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을 먼저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사붙여넣기 아이디어를 좀 더 확장했으면 좋았겠습니다. 지메일이나 네이버메일의 수신자 입력 필드처럼 통채로 복사붙여넣기를 하면 소프트웨어가 알아서 인식해주는 방식도 있으니까요.
 
UI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서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은 화면이나 (+) 버튼을 누른 후의 UI에 대해 상상을 해야 합니다. 충분한 설명이 될 수 있어야 오해가 적어지며 디자인 강점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총평 
이 케이스는 사용자 정황을 보면서 더 나은 디자인안을 찾아야 하는 사례입니다. 회원님께서는 약간 좁기는 하지만 특정 사용자를 고려하면서 좋은 인사이트를 찾으셨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적용된 UX도 만드셨고요. 다만 동일한 디자인 결과물이더라도 텍스트 형태로 수신자 전화번호/이름을 가진 사용자들이 많을 것이므로 이들을 지원하는 디자인안을 이렇게 만들었다라고 정리했으면 훨씬 더 본인의 디자인안의 가치를 잘 설명하실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인사이트>아이디어>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역량을 일곱시의 실무 케이스를 통해 키워나가세요. 

전문가의 평가:B
S: 감탄할 만한 수준입니다.
A: 실제 상품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요.
B: 부족함이 조금 있습니다.
C: 노력이 필요해요. 

답안 제출을 망설이지 마세요. 디자인에 정답은 없습니다. 

머뭇거리는 것 보다는 전문가의 1:1 피드백을 받는 것이 역량 향상에 훨씬 도움이 됩니다.

일곱시로 실무 UX 역량을, 특히 채용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해결 역량을 쌓아가세요.

답안 제출을 망설이지 마세요. 디자인에 정답은 없습니다. 

머뭇거리는 것 보다는 전문가의 1:1 피드백을 받는 것이 

 역량 향상에 훨씬 도움이 됩니다.


일곱시로 실무 UX 역량을,

특히 채용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해결 역량을 쌓아가세요.